포스트바이오틱스 (유산균배양건조물)
원료(균주)명 | 유산균 배양건조물 기능 |
---|---|
1디글루 MB1 (MB0601) | 글루텐분해유산균 배양건조물 |
2디글루 MB2 (GLU70) | 글루텐분해유산균 : 글리아딘으로 야기된 염증성 장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배양건조물 (특허등록) |
3디프로 rhamnosus (DS0508) | 비만 치료 및 예방 |
4유산균배양건조물 MB201(ML-004), MB202(ML-036), MB203(ML-019), MB204(ML-035) | 17종 아미노산 및 다양한 유기산, 단쇄지방산 함유 |
1디글루 MB1
글루텐 분해능으로 특허받은 MB0601 균주를 활용하여 연구개발한 유산균배양건조물
check_circle유산균과 동일 효능
check_circle프리바이오틱스 작용
check_circle외부 환경의 안정성
check_circle적용 제품의 다양성
2디글루 MB2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GLU70 균주를 활용하여 연구개발한 특허받은 유산균배양건조물
keyboard_double_arrow_down글루텐분해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디글루 MB2) 글루텐(글리아딘)에 의한 장 상피세포 손상 억제 확인
실험군 | 실험물질 | 투여용량 |
---|---|---|
NC | DW | - |
Gliadin | Gliadin | 10㎎ / 250㎕ / mice |
디글루 MB2-L | Gliadin + 글루텐분해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저농도 | 40㎎ / ㎏ / day |
디글루 MB2-H | Gliadin + 글루텐분해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고농도 | 400㎎ / ㎏ / day |
〈 21일간 투여 실험 〉
정상 장 상피세포
글리아딘으로 손상된 장 상피세포
디글루 GLU70이 손상된 장 상피세포 변성 억제
keyboard_double_arrow_down글루텐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단백질 발현의 증가가 글루텐분해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에 의해 감소 확인
실험군 | 실험물질 | 투여용량 |
---|---|---|
NC | DW | - |
Gliadin | Gliadin | 10㎎ / 250㎕ / mice |
PC | Gliadin + vancomycin | 10㎎ / ㎏ / day |
디글루 MB2-L | Gliadin + 글루텐분해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저농도 | 40㎎ / ㎏ / day |
디글루 MB2-H | Gliadin + 글루텐분해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고농도 | 400㎎ / ㎏ / day |
〈 21일간 투여 실험 〉
-
▲ 글리아딘으로 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감소
-
▲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증가
▲ 글리아딘으로 인한 염증성 단백질 발현 감소
3디프로 rhamnosus
갈색지방 활성화로 특허받은 디프로 rhamnosus 균주를 활용하여 연구개발한 유산균배양건조물
동물모델실험 (In vlvo test)
1고지방식이 유도 비만마우스를 이용한 체중증가 억제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유산균 또는 배양액을 12주간 투여
2음성대조군 대비 5.7% 체중 증가 억제 효과 확인

4유산균배양건조물 MB201(ML-004), MB202(ML-036), MB203(ML-019), MB204(ML-035)
유산균 고유의 유익한 기능과 유산균의 대사산물인 17종 아미노산 및 다양한 유기산과 단쇄지방산을 함유한 것으로 국가공인시험분석 결과 확인
-
〈 유기산, 단쇄지방산 시험성적서 〉
-
〈 아미노산 시험성적서 〉
〈 균주 기탁증 〉